[Data Link Layer (Layer 2) in OSI 7 Layer] Switch, STP, VLAN
kykyky2025. 6. 11. 09:27
Switch
스위치는 수신 MAC 주소를 학습하여, 정확한 포트로만 전달함.
eg. PC1이 PC2에게 데이터를 보내면 → 스위치는 모든 포트가 아니라 PC2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송 → 불필요한 트래픽 감소
<-> 단순한 허브(Hub)는 들어온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방송(Broadcast)함.
스위치의 Trunk Port & Access Port
L2에 소속되므로, 기본적으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IP 주소가 불필요하지만, 원격 관리를 위해 IP 주소를 할당하기도 함. (eg. 다른 서브넷의 관리 서버에서 스위치를 관리/모니터링.) 이때 스위치의 모든 포트와 관리 IP 주소는 기본적으로 가상 인터페이스인 VLAN에 속함. -> 스위치가 속한 VLAN 인터페이스 &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
STP
이 프로토콜이 해결하려는 대상: Switcing loop 문제 (: 데이터 프레임이 무한히 순환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