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네트워크

네트워크에 대한 근본적 이해 (뇌피셜)

kykyky 2025. 6. 11. 13:18

모든 네트워크 상황은 결국 프로토콜로 설명될 수 있고,
프로토콜은 아래 요소들로 구성된다:
- 패킷의 구조 정의 (+ 여기에 실제로 담긴 데이터)
- 패킷 해석 로직
- 기본적인 제어 로직 (패킷과 별개로) 
 
또한, 로직과 패킷 구조 정의 정보가 실제로 들어있는 곳은 아래의 `처리 주체`이다 (gpt가 알려줌):

OSI
7 Layer
주요 프로토콜 / 기능 예시처리 주체
7응용 계층 (Application)HTTP, HTTPS, FTP, SMTP, DNS, SSH 등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브라우저, 메일클라이언트 등)
6표현 계층 (Presentation)인코딩, 암호화, 압축 (e.g., JPEG, TLS, ASCII)운영체제 또는 라이브러리 (예: OpenSSL, codec)
5세션 계층 (Session)세션 관리 (RPC, NetBIOS, PPTP 등)운영체제 또는 소켓 라이브러리
4전송 계층 (Transport)TCP, UDP운영체제 (커널, TCP/IP 스택)
3네트워크 계층 (Network)IP, ICMP, ARP, OSPF, RIP, BGP라우터, L3 스위치, OS의 IP 스택
2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Ethernet, PPP, Frame Relay, VLAN, MAC 주소스위치, 네트워크 카드(NIC)
1물리 계층 (Physical)전기신호, 광신호, 케이블, 전압, 비트 전송허브, 리피터, 케이블, NIC의 물리 회로

이때, 스위치, 라우터 등 장비는 자신이 맡은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OS / 펌웨어 / 모듈 등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