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네트워크 6

[Internet layer (2) - Routing Protocols: IGP, EGP, Link State, Distance Vector, Path Vector] in TCP/IP 4 layer

Routing Protocols ※ Static VS. Dynamic Routing ▶ Static: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지정합니다. ▶ Dynamic: 라우터가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라우팅합니다. Interior Gateway Protocols (IGP) 한 AS 내에서 라우터들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Link State - OSPF, ISIS 우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게 전달한 다음, 그 후 동시에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이로써 모든 라우터는 완벽한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모든 link의 비용을 알게 되며, 이것을 LSD(Link State Database)라 합니다. LSD를 바탕으로 특정 destination을 향한 모든 경로에 대한 지도를 그린 뒤,..

IT/네트워크 2024.01.08

[Internet layer (1) - NAT, ICMP, ARP] in TCP/IP 4 layer

Internet layer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목적 - IP 절약: 하나의 공인 IP주소로 여러 대의 호스트가 인터넷 접속 가능 - 보안성 제고: 외부 공격자는 라우터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를 알수 없어, 최종 목적지로의 공격이 어려워짐 동작 원리 (S: Source, D: Destination 입니다.) 1) 호스트 → 게이트웨이 (사진 상 위, 왼쪽) S IP: 호스트의 사설 IP주소 D IP: 서버 IP주소 2) 게이트웨이 → 서버 (사진 상 위, 오른쪽) ▶ NAT table: 호스트의 사설 IP주소, 게이트웨이의 공인 IP주소, 목적지 IP주소 포함됨 PAT의 경우: Source 포트번호, 사설망 포트번호 추가됨 S..

IT/네트워크 2024.01.07

[Transport layer - TCP, UDP] in TCP/IP 4 layer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흐름 제어 흐름 제어란? 송신자와 수신의 데이터 속도가 다를 수 있기에, 송신자의 데이터 송신 속도를 제어하여, 수신자가 받을 수 있을 만큼의 데이터만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의 Overflow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1. Stop & Wait . 2. Sliding Window Stop & Wait 방식을 거의 병렬적, 독립적으로, 동시에 여러개를 하는 것? 이건 저만의 생각입니다. sliding window란,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크기 (= Window size) 내에서 패킷을 연속으로 전송함으로써 (ACK를 기다리지 않고), Stop & Wait에 비하여 효율을 크게 높인 것입니다...

IT/네트워크 2024.01.04

[Application layer - DNS, DHCP, SMTP, IMAP, POP3, FTP, HTTP] in TCP/IP 4 layer

Application layer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Name System DNS Domain을 IP address로 전환해줍니다. 사용자가 www.example.com이라는 Domain의 IP address를 DNS에게 물으면, DNS는 이에 대한 답을 해줍니다. 사용자가 www.example.com이라는 Domain에 접속하려 할 때,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그림의 "recursive"라 표현된 위치는 DNS resolver입니다.) 1. 사용자의 요청은 DNS resolver로 라우팅됨 - DNS resolver는 ISP가 관리함 - 사실, 이렇게 DNS resolver가 요청을 받은 뒤, DNS resolver의 Cache에 "www.example.com"에 대한 IP..

IT/네트워크 2024.01.02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 클래스가 없다: 네트워크 구분을 Class로 하지 않는다 Class: 사이더가 나오기전 사용했던 네트워크 구분 체계 사이더가 나오면서 Class 체계보다 더 유연하게 IP주소를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눌 수 있게 됨 Intra-Domain과 같이 각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 짓고 Inter-Domain 과 같이 구분된 네트워크간 통신을 위한 주소 체계 CIDR이 "/24" -> 앞에서부터 24비트 이후에 오는 4번째 옥텟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는 표현 143.7.65.203/24 -> 143.7.65.0 ~ 143.7.65.255 까지 사용가능 https://www.ipaddressguide.com/cidr

IT/네트워크 202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