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네트워크 보안 소개

# 패킷 스니핑네트워크 통해 전송되는 패킷을 가로채 분석  by wireshark, tcpdump# 포트 스캐닝네트워크 상의 시스템에서 열린 통신 포트를 스캔해 취약점을 식별하는 기술  포트가 열려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honeypot?으로 포트 개방 여부를 변조할 수 있음  by Nmap# 스푸핑* IP 스푸핑 자신의 IP주소를 다른 IP주소로 변조해 네트워크에 접근 DDoS에도 활용  * ARP 스푸핑 ARP를 조작해 다른 컴퓨터의 트래픽을 가로챔 * DNS 스푸핑 DNS 응답을 조작해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유도 # MITM 네트워크 통신 중에 두 시스템간의 통신을 가로채고 변조 # DDoS 공격다수의 시스템을 활용해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에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시켜 정상적 서비스를 방해  b..

[Heap] chunk의 구조, free list, malloc(), free()

heap은 variable size memory로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 동적으로 할당/해제되는 메모리 영역이다.malloc()으로 allocate되고 free()로 deallocate된다. chunk의 구조header + chunk header8byte  chunk chunk는 사용되고 있을 때와 free된 때의 모습이 아래처럼 다르다.   free chunk의 double-linked list free chunk끼리는 double-linked list로 이어져 있다.(그림 상에는 single-linked처럼 그려져있지만 아무튼 실제로는 double-linked이다.)  포인터 관계를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다.  malloc()malloc(100)을 통해 chunk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되며 1..